서브배경
서브이미지

진료시간안내

  • 평 일 오전9시 ~ 오후6시반
  • 토 요 일 오전9시 ~ 오후1시
  • 점심시간 오후1시 ~ 오후2시

야간진료 : 화요일,금요일
오전 9시 ~ 오후 8시

02-2038-8909


홈으로

제목

눈앞이 번쩍번쩍? 무심코 넘겼다가 실명까지...'망막열공'의 경고 [건강톡톡]

image

나이가 들수록 눈앞에 벌레가 떠다니는 것처럼 보이는 비문증은 흔하게 경험할 수 있는 증상이다. 하지만 갑자기 비문증이 심해지거나 어두운 곳에서 번쩍거리는 광시증이 동반된다면 망막열공을 의심해볼 필요가 있다. 하이닥 안과 전문의와 함께 망막열공의 원인과 치료법에 대해 알아보자.

q. 눈앞에 벌레가 떠다니는 것 같고, 어두운 곳에서는 번쩍거려요.
비문증과 광시증은 망막과 관련된 문제를 시사할 수 있습니다. 광시증은 망막이 유리체의 견인력에 의해 자극을 받을 때 발생하며, 망막열공이나 망막박리의 초기 증상일 가능성이 높아 신중하게 접근해야 합니다. 망막열공을 방치하면 박리로 진행될 가능성이 있으며, 심할 경우 실명 위험도 있습니다.
- 하이닥 안과 상담의사 오영삼 원장(강남아이오케이안과의원)

q. 망막열공이란 정확히 어떤 질환인가요?
망막열공은 망막 조직에 틈이 생기거나 찢어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망막은 눈의 후면에서 시각 정보를 받아들이고 뇌로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열공이 생기면 시각 정보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을 수 있는 것이죠. 망막열공의 주요 원인은 망막이 지속적인 힘을 받으면서 손상되는 것입니다. 갑작스러운 충격, 눈 내압의 변동, 노화로 인한 망막 변화, 고도근시, 망막변성 등이 망막열공을 유발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 하이닥 안과 상담의사 이민지 원장(강남아이디안과의원)

q. 근시가 있으면 망막열공이 생길 확률이 높은가요?
고도근시는 안구 길이가 길어지면서 망막이 얇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얇아진 망막은 상대적으로 약해질 가능성이 높고, 이에 따라 망막열공이나 박리가 발생할 위험이 커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고도근시라고 해서 반드시 망막열공이 생기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고도근시는 각막이 얇고 망막열공, 황반변성, 녹내장, 망막박리 등의 질환을 유발할 확률이 높아지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고도근시를 가진 경우 정기적인 안과 검진을 통해 망막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하이닥 안과 상담의사 구오섭 원장(글로리서울안과)

q. 망막열공을 진단하려면 어떤 검사가 필요한가요?
망막을 정밀하게 검사하기 위해서는 산동검사가 필요합니다. 산동제를 사용해 동공을 확장한 후 안저 검사를 진행하게 되는데, 이를 통해 망막열공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산동검사는 눈에 일시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지만, 대부분 몇 시간에서 하루 이틀 내에 정상적으로 회복됩니다. 일반적인 건강 상태의 성인이라면 큰 부담없이 검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하이닥 안과 상담의사 구오섭 원장(글로리서울안과)

q. 증상이 없어도 망막열공이 발견되면 치료해야 하나요?
망막열공은 말 그대로 망막에 구멍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이 구멍을 통해 망막과 맥락막 사이에 액체가 스며들면서 망막박리로 진행될 위험이 있습니다. 망막박리는 실명 가능성이 높은 질환이므로, 망막열공이 발견되면 반드시 치료하는 것이 좋습니다. 진료 중에 자연적으로 위축된 열공이 발견되는 경우도 있지만, 검사 중 열공이 발견되었다면 반드시 치료할 것을 권해드립니다.
- 하이닥 안과 상담의사 홍경의 원장(그랜드성모안과의원)

q. 망막열공은 어떻게 치료하나요? 꼭 수술이 필요한가요?
망막열공은 레이저 광응고술로 치료할 수 있습니다. 레이저를 조사하면 망막조직이 응고 및 위축되면서 망막 아래의 공간을 밀착시켜 망막박리로 진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망막박리로 진행된 경우나 열공이 여러 개 생긴 경우에는 공막돌륭술이나 유리체절제술과 같은 망막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치료 방법은 망막열공의 위치, 크기, 진행 상태에 따라 결정됩니다.
- 하이닥 안과 상담의사 홍경의 원장(그랜드성모안과의원)

q. 치료 후 회복 기간은 얼마나 걸리나요?
레이저 시술 후 망막이 안정적으로 유착되는 데 걸리는 시간은 약 2~4주입니다. 이 기간 동안 눈에 강한 충격을 가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특히 눈을 비비는 습관은 열공이 다시 생길 위험이 있으므로 피해야 합니다. 또한 치료 후에도 정기적인 안저 검진을 통해 망막 상태를 지속적으로 점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치료 부위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지, 새로운 열공이 생기지 않는지 등을 꾸준히 관리해야 합니다.
- 하이닥 안과 상담의사 최민규 원장

q. 재발 위험도 있나요?
망막열공 자체가 반복적으로 재발하는 질환은 아닙니다. 하지만 망막이 약해진 상태이므로 새로운 열공이 생길 가능성은 존재합니다. 따라서 망막열공을 한 번 경험한 사람이라면 정기적으로 안과 검진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근시가 심한 경우, 가족력이 있는 경우, 과거 망막질환을 앓은 이력이 있는 경우에는 더욱 신경 써야 합니다.
- 하이닥 안과 상담의사 오영상 원장(강남아이오케이안과의원)

* 이 기사는 하이닥 전문가의 답변을 재구성했습니다.

도움말 = 오영삼 원장(강남아이오케이안과의원 안과 전문의), 이민지 원장(강남아이디안과의원 안과 전문의), 구오섭 원장(글로리서울안과 안과 전문의), 홍경의 원장(그랜드성모안과의원 안과 전문의), 최민규 원장(하이닥 상담의사 안과 전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