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료시간안내
- 평 일 오전9시 ~ 오후6시반
- 토 요 일 오전9시 ~ 오후1시
- 점심시간 오후1시 ~ 오후2시
야간진료 : 화요일,금요일
오전 9시 ~ 오후 8시


야간진료 : 화요일,금요일
오전 9시 ~ 오후 8시
02-2038-8909
홈으로
커피 마셨을 뿐인데, 간 딱딱해지는 ‘이 질환’ 위험 뚝↓…또 다른 예방법은
비알코올성 지방간 관리, 하루 커피 2~3잔으로최근 비알코올성 지방간 환자가 커피를 즐겨 마시면 간 섬유화 발생 위험을 크게 낮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국내에서 나왔다. 특히, 매일 커피를 2~3잔 마시는 사람에게서 간 보호 효과가 두드러졌다.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을지대 빅데이터의료융합학과 박주용 교수팀(예방의학)이 2001~2018년 질병관리청의 koges(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study) 연구에 참여한 40~69세(연구 시작 당시) 남녀 6,592명(비알코올성 지방간이 없는 5,266명, 비알코올성 지방간이 있지만 간 섬유화가 없는 1,326명)을 대상으로 커피와 간 건강의 상관성을 분석했다. 연구 시작 당시 비알코올성 지방간이 없던 5,266명 중 43.6%(2,298명)가 추적 기간 11.6년 후 비알코올성 지방간 진단을 받았다. 그러나 이들에서 커피를 얼마나 마시느냐와 비알코올성 지방간 발생률과는 이렇다 할 관련이 없었다. 반면, 연구 시작 당시 비알코올성 지방간이 있던 1,326명 중 15.6%(207명)가 추적 기간 15.7년 후 심한 간 섬유증 소견을 보였는데, 여기에선 커피를 즐겨 마신 사람에게서 심한 간 섬유증 발생 위험이 21%가량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박 교수팀은 논문에서 “커피 섭취가 비알코올성 지방간 환자의 심한 간 섬유화 발생을 억제하거나 개선했지만, 이전에 비알코올성 지방간이 없던 사람의 지방간 발병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이 우리 연구의 결론”이라고 설명했다. 본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뉴트리언츠(nutrients)’ 최근호에 게재됐다.비알코올성 지방간 환자, 근육의 양보다 질에 신경 써야비알코올성 지방간 환자는 간 섬유화 예방을 위해 식단 조절과 함께 유산소 및 근력운동 병행 등 근육의 질 개선이 필요하다. 서울대학교 김원 교수팀 연구에 따르면 근육 내 지방이 쌓여 근육 지방화가 된 ‘건강하지 않은 근육량’을 많이 가진 환자군에서 간 섬유화 진행 위험도가 크게 증가한다. 건강하지 않은 근육량(low-attenuation muscle area, lama)이란 근육 내 지방이 쌓여 근육 지방화가 된 경우를 말한다. 연구진이 비알코올성 지방간 환자들의 근육 질 지도(muscle quality map)’를 이용하여 근육의 질을 구분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연구진은 간 조직검사를 통해 진단된 비알코올성 지방간 환자 292명을 대상으로, 복부 ct로 평가된 근육의 질에 따라 근육량을 네 그룹으로 나누어 간 섬유화 진행 정도를 추적 조사했다. 그 결과, 건강하지 않은 근육량(lama)을 가장 많이 가진 환자군이 가장 적게 근육량을 가진 환자군에 비해 간 섬유화 진행 위험도가 2.8배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근감소증과 골격근량이 비알코올성 지방간 발생 위험 증가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이 잘 알려져 있으나, 근육의 질에 따른 근육량이 간 섬유화 진행에 미치는 영향은 밝혀진 바가 없었다. 이번 연구를 통해 단순한 근육량이 아닌 근육의 질에 따른 근육량이 비알코올성 지방간 환자에서의 간 섬유화 진행에 더 주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처음으로 밝혀졌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 결과는 간 조직검사를 통해 진단된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 환자들에서 특히, 근육의 질이 간 섬유화 진행 여부 결정에 매우 중요한 인자임을 직접 확인한 결과이며, 더 나아가 비조영 복부지방 ct 촬영을 통한 근육의 질 평가로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 환자에서 간 섬유화 진행에 민감한 환자들을 조기에 예측하고 진단할 수 있음을 처음으로 확인한 결과이다”라고 밝혔다. 본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소화약리학 및 치료학(alimentary pharmacology & therapeutics)’에 게재됐다.